정금칠 객원논설위원 / 정치학박사
정금칠 객원논설위원 / 정치학박사

총선 출마자들의 후보 등록이 마무리되었다. 21개 정당에서 699명이 등록했다. 평균 경쟁률은 2.8대 1이다. 4.4대 1이었던 21대 총선 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고학력자, 남성 과대, 다양성 부족, 정치인들의 직업화 현상은 이번 총선에서도 여전했다.

‘혁신공천’, ‘시스템 공천’을 강조했지만, 젊은 층 후보 비중은 5.6%, 여성 후보는 13.8%에 그침으로써 ‘공천쇄신’의 명분을 무색케 했다.

후보들의 직업군에 있어서도 현직을 포함해 정치인들의 비중만 커질 뿐 국회 구성의 다양성 희망은 요원했다. 등록 후보의 34.2%인 209명이 전과 이력을 보유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선출되는 지역구 국회의원은 모두 18명(광주 8명, 전남 10명)이다. 공천 과정에서 광주 지역구의 경우 현직 국회의원 8명 중 7명이 교체되었고, 전남 역시 절반에 가까운 현역 의원들이 공천권 경쟁에서 고배를 마셨다.

광주·전남지역 총선후보 등록 마감 결과 18개 선거구에 모두 72명이 등록했다. 평균 경쟁률 4대 1이다. 광주의 경쟁률은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이다. 8개 선거구에 36명이 각축전을 벌이게 되었다.

전남은 3.6대 1을 기록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지역구는 광주 서구을과 전남 목포선거구로 각각 6명이 등록했으며, 광주 북구을과 동구 남구을, 광산갑, 을, 전남 영암·무안·신안, 담양·함평·영광·장성 지역구에는 각각 5명의 후보가 나섰다. 여수갑, 고흥·보성·장흥·강진군, 해남·완도·진도 선거구에는 각각 2명의 후보가 등록해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광주·전남 등록 후보들의 전과기록 보유율은 전국 평균보다 상회하는 37%에 달했다. 72명 중 27명이 시국사건 외에 사기, 경제범죄 등 다양한 전과 이력을 가졌다. 직업군에서 배우, 조리사 등 이색 직업이 눈길을 끌었지만, 정치인 출신이 72명 중 43명이나 되었다. 성별로는 남성 63명, 여성 9명(광주 6, 전남 3)으로 여성의 과소현상이 여전했다. 남성 63명 가운데 15.8%인 10명이 시국 전과 등으로 군 복무를 마치지 않은 사람으로 분류되었다. 최고령은 82세였고, 최연소는 54세 차이를 보인 28세였다. 무소속 등록은 8명으로 역대 총선 중 가장 적었다.

광주·전남의 총선은 몇몇 선거구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싱거운 싸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러한 전망 저변에는 정치에 대한 무관심 초래와 투표율 저하를 우려하는 점도 동반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이미 경험한 바와 같이 특정 정당의 지배가 오래된 지역일수록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다. 이 지역에서는 ‘공천종료’가 곧 ‘총선종료’로 인식되어 허탈감에 휩싸이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원론적으로 ‘싱거운 싸움’은 상대 후보의 지지기반 약화가 1차적 원인이다. 그러나 공천장을 받아 든 후보의 지역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 결여, 갈등과 대립을 풀어내는 학습과 경험 부족, 지역의 미래 비전 부존재, 연대와 협치를 통한 지역 공동체 형성에 소극적인 행태들 역시 유권자들의 투표장 발길을 돌리게 하는 요인들이다.

그동안 광주·전남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화려한 경력과 경험을 공동체를 위한 ‘빛나는 정치’에 활용하기보다는 자신의 이익이나 ‘권력 유지’에 골몰함으로써 역할과 책임에 있어서 한계를 보였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는 일침도 가해졌다. 높은 현역 교체율이 이러한 우려와 지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등록을 마친 후보들의 선거운동은 오는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광주·전남지역 선거가 ‘싱거운 싸움’으로 치부되지 않고 민주주의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선거운동을 주도하는 후보들의 마음 다잡음이 절실하다. 등록까지는 후보로서 자격을 검증받은 과정이었다면, 이제는 지역의 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관찰하고 막연했던 대안과 단위 정책들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고 실현가능한 공약으로 정립시키는 데 열정을 쏟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정치 무관심에 매몰될 가능성이 높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나서도록 적극 유도함으로서 ‘그들만의 축제’, ‘자신의 축제’가 아닌 ‘주민의 축제’, ‘모두의 축제’로 이끌어야 한다. 선거운동 역시 단순 지지 차원을 넘어 분산되고 대립되어 있는 이견들을 대화와 타협, 조정을 통해 통합하고 최적의 방안들을 모색하는 연대와 협치의 ‘학습장’이 되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호남정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